


부산의 특색 중 하나로 산복도로가 꼽히고, 그 중 가장 유명한 곳을 꼽자면 감천문화마을이 있다. 그리고 또 떠오른 산복도로 마을이 있으니 바로 드라마 ‘쌈마이웨이’ 촬영지로 알려진 호천마을이다. 옛날에는 산세가 험해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서 붙은 이름인 호천마을. 호랑이가 사라진 산비탈엔 옹기종기 집들이 들어서고 오렌지색 따뜻한 가로등이 골목골목을 비춘다.
부산시 > 부산진구



군부대와 공원. 정반대에 놓여있는 느낌의 두 단어다. 하지만 군부대가 공원으로 다시 태어난 곳이 있으니, 바로 부산시민공원이다. 광복 후 미군 하야리아 부대로 이 땅이 불린지 70여 년 만에 부산시민의 따뜻한 쉼터로 돌아온 부산시민공원을 둘러본다.
부산시 > 부산진구



새해를 맞이하기 직전, 사람들은 제일 먼저 해돋이 여행을 계획한다. 각양각색의 빛깔 다른 바다를 간직한 부산은 그만큼 다채로운 해돋이 풍경을 보여주는 곳이다. 매일 같은 해가 떠오르지만 맞이하는 장소에 따라 해는 그 모습을 달리한다. 부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양한 매력의 일출 명소를 찾아가본다.
부산시 > 해운대구



바다와 산, 강이 어우러진 점이 부산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다. 다양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는 만큼 선셋, 즉 부산의 일몰 역시 보는 곳에 따라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부산시 > 사하구



골목 입구에서 풍겨 나오는 맛있는 냄새를 따라 이끌려온 이 곳. 밤이 되면 그 냄새가 더욱 짙어지는 이곳, 바로 부평깡통시장이다.
국제시장과 맞붙어있는 부평깡통시장.
남포동 일대를 돌아다니다보면 국제시장과 부평깡통시장의 구분이 없이 왔다 갔다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가장 큰 차이점은 국제시장은 ‘만물시장’의 느낌이고 부평깡통시장은 ‘음식시장’ 느낌이라는 점이다.
부산시 > 중구



추천코스 1일차 : 범어사 - 동래읍성 - 복천박물관/복천동고분군 - 죽성성당 - 해동용궁사 - 송정해수욕장/죽도공원 2일차 : 해운대해수욕장/동백섬 - 오륙도 - 태종대 - 영도대교 - 용두산공원 3일차 : 감천문화마을 - 송도해수욕장/케이블카 - 다대포해수욕장 - 장림포구 - 을숙도 – 가덕도
1일차 추천코스 범어사 동래읍성 복천박물관/복천동고분군 죽성성당 해동용궁사 송정해수욕장/죽도공원
부산시 > 금정구



서울에 북한산이 있다면 부산에는 금정산이 있다.
이 산은 부산 금정구에서 북구 그리고 경남 양산시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있다. 그렇다 보니 부산 도심은 물론이고 외곽 지역에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워낙 넓게 자리 잡은 산이기에 들머리와 전혀 다른 곳으로 날머리를 잡게 되는 경우도 많다. 한국에서 가장 긴 산성인 금정산성과 영남 3대 사찰로 꼽히는 범어사를 품고 있는 금정산으로 떠나보자.
부산시 > 금정구



분명히 부산 시내에 있지만 멀리 떨어진 어촌마을로 온 듯한 기분을 선사해주는 청사포와 미포, 그 소박한 풍경 속으로 떠난다.
청사포의 ‘청사’는 ‘푸른 모래’ 라는 뜻이다. 이름만 들어도 왠지 설레고 청량한 느낌이 드는 예쁜 이름의 청사포. 도시철도 장산역에서 언덕을 넘어 골목길을 따라 내려오면 청사포 입구 교차로가 보이고, 그 너머로 작은 어촌 마을 청사포가 모습을 드러낸다. 언덕을 넘는 순간 내려다보이는 청사포의 아름다운 모습에 눈을 뗄 수 없다.
부산시 > 해운대구



부산! 명소가 많아도 너무 많다. 고민할 거 없이 부산의 관문 부산역에서 여정을 시작해 보자. 역을 빠져나와 곧장 길을 건너면 차이나타운과 텍사스 거리가 눈길을 끈다. 현대사를 관통하는 부산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초량이바구길의 시작이 여기서 멀지 않다. 길은 꼬불꼬불 미로처럼 엮인 달동네를 가로지르며 부산의 과거 속으로 여행자를 안내한다.
부산시 > 동구



점이었을 곳. 사람들은 외롭게 있던 점 두 개를 다리를 놓아 연결했다. 이로써 점은 선이 되며 새로운 길로 탄생했다. 아스라이 손에 잡힐 듯 서로 닿지 못해 애끓던 점 두 개를 잇는 다리가 놓이자, 사람들은 언제든 달려가 그리움을 털어 낼 수 있게 됐다. 부산의 다리는 홀로 외로웠을, 한없이 그리웠을 것들에 대한 연민이자 사랑이다. 그래서 바다에서 솟구쳐 올라 하늘 위를 가로지르는 대교들을 보고 있으면 사람의 체온이 전해지나 보다. 밤이 되면 그 온기는 화려한 색으로 변해 황홀한 풍경이 돼 준다. 부산을 가장 부산답게 만드는 대교를 찾아 떠나본다.
부산시 > 수영구



일제강점기, 해방과 전쟁을 지나 산업화를 거치면서도 개방되지 않았던 자연 본연의 모습을 간직한 숲.
400년 간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던 이곳,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아홉산숲이 그 주인공이다.
아홉산숲의 아홉산은 아홉 골짜기를 품고 있다는 뜻의 순 우리말이 남아있는 이름이다.
부산시 > 기장군



예로부터 더덕이 많이 나서 붙여졌다는 이름 가덕도는 부산에 속한 섬 중 가장 큰 섬이지만 서쪽 제일 끝에 위치해 있어 일부 사람들에게는 낯선 곳이기도 했다. 하지만 가덕도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역사적으로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까지 일본과 기나긴 악연을 가진 섬이기도 하다. 연대봉은 섬의 가장 높은 곳에서 사연 많은 가덕도의 역사를 오늘날까지 꿋꿋이 품어주고 있다.
부산시 > 강서구



부산하면 바다, 바다하면 부산이라고들 하지만 우리는 대한민국 해양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세상의 모든 바다 이야기가 시작되는 국립해양박물관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바다로 안내한다.
부산시 > 영도구



누군 파도를 만들어 내는 게 바다의 일이라고 했다. 고맙게도 큰 어려움 없이 바다가 하는 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그간의 시름과 걱정을 떨쳐낼 수 있다. 겨울 바다는 여름바다와 달리 그 자체로 여유와 한적함이다. 지난여름 해변을 꽉 채웠던 사람들은 썰물처럼 빠져 온데간데없다. 해변은 언제 그랬냐는 듯 한없이 고즈넉하기만 하다. 이때야말로 호젓한 바다의 매력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시간이다.
부산시 > 해운대구



영도다리 난간에 수없이 펄럭이던 저마다의 사연은 사라진지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그 시절을 떠올리면 눈가가 젖어오는 사람들.
전쟁통에 가족과 생이별할 때 무조건 살아남아 영도다리에서 꼭 만나자고 눈물로 약속했던 공간.
영도대교라고 쓰고 영도다리라고 읽는다.
부산시 > 영도구